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포르투갈 다옹 두오루 뽀르뚜 알렌떼주 와인생산지

by 여니ing 2023. 6. 5.
반응형

 

포르투갈 와인생산지인 다옹, 두오루 뽀르뚜, 알렌떼주 지방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다옹

다옹 지역에서 생산되는 레드 와인은 1990년까지는 매우 거칠고 탄닌 맛이 강하여 널리 사랑받는 와인은 아니었습니다. 아직까지 2급 와인이 생산되기는 하지만 포도 재배지의 설비를 개선하는 등 전반적인 개선 작업을 벌이면서 상급 와인을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소규모 생산자 중 한명인 낀따 도스 로께스는 말바시아나 엔크루자도와 같은 품종으로 상급의 화이트 와인 뿐 아니라 레제르바를 혼합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낀다 다스 마이아스는 포도 재배지의 시설을 개선하여 상급의 포도주를 생산하고 있는데 특히 검은 라벨의 레제르바가 훌륭합니다. 낀따스 도 페야단드 다스 사에서의 와인은 전통적인 맛으로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포르투갈의 가장 큰 와인 회사인 소그라뻬는 오래 전부터 이 지역에 진출하여 해외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와인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비뉴 보르헤스 사는 메이아 엔꼬스따라는 브랜드의 저가의 와인을 생산하는데 최근 낀따 아 아구에이라에서 포도재배와 양조, 병입까지 함께 이루어져 우수한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다옹 슬 사는 다웅, 두오로, 바이라다 지역의 여러 포도원과 합작투자를 맺고 포도 재배와 양조, 병입을 한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두오루 뽀르뚜

두오르 뽀르뚜 지역은 포르투갈 내 최고의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입니다. 도우루 지역은 뽀르뚜 와인의 산지로 유명하지만 일반 포도주의 생산지로도 잘 알려진 곳입니다. 알려진 테이블 와인으로는 바르까 벨랴, 두아스 낀따스 레제르바, 낀따 도 꼬또 그란데 에숄라 등이 있습니다. 디르크 니에푸르트는 이 지역의 와인 산업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값비싼 최고급 와인을 생산하는 니에푸르트는 이 지역 와인 생산자들이 단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두오루 지역의 테이블 와인 산업이 성장하면서 와인 수출이 증가했고, 이 지역의 해운 운송업자들 또한 크게 성장했습니다. 이 지역의 화이트 와인은 디르크 니에푸르트가 생산하는 레도마 블란코를 제외하고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1950년 이후로 고품질의 화이트 와인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도오루 뽀르뚜의 포도 생산은 도우루강 계곡에서 이루어지고 그 면적은 30만 헥타르를 넘지만 DOC 통제를 받고 포도를 재배하는 실제면적은 약 10%에 해당하는 3만 헥타르입니다. 이곳의 기후는 겨울에 혹독하게 춥고 바람이 매서우며 여름은 매우 덥습니다. 토양은 편암지대로 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포도재배가 어려운 열악한 환경이기 때문에 포도를 재배하는 사람들은 바위를 부수고 포도를 심습니다.

 

알렌떼주

알렌떼주 지방의 와인은 지난 10년 동안 현대적이면서도 독특한 스타일로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1974년 포르투갈 군부혁명인 카네이션혁명이 성공을 거둔 후 알렌떼주는 커다란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대토지 소유자의 광활한 농토가 농민을 위해서 분배되었습니다. 이 정책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그러나 소규모 포도재배자들이 협동조합체제를 강화하고 양질의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지역의 유명한 와인 중 하나인 호세 마리아 다 폰세까의 호세 데 소우사는 진흙 옹기에서 발효되어 약초맛과 단 맛의 향신료 맛이 혼합된 맛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에보라의 까르뚜사는 독특한 컬트 와인인 뻬라 만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엘렌떼주 지방은 포르투갈 전체 면적의 3/1을 차지할 정도로 넓은 평야 지역입니다. 주앙 포르투갈 라모스는 유명한 와인 컨설턴트 생산자로 에스뜨레모즈에 양조장이 있습니다. 오크 통에서 발효시켜 포도와 과일 맛이 적절하게 융합된 레드 와인을 생산합니다. 에스쁘라웅의 데이비디 배버스턱은 두오로 지방에 여려 개의 양조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두 생산자는 외국산 포도 품종이 아닌 고유의 포도 품종을 사용해 왔으나, 근래에는 시라를 함께 재배하고 있습니다. 알렌뗀주 지방의 현대적이면서도 농축된 와인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만큼 인기가 높습니다. 최근 까베스 알리안싸와 소그라뻬와 같은 큰 회사도 이 지역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